전체 글

· TIL
1. 사용자 관리에 대해 알아봅시다 linux에서 계정은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뜻합니다. 시스템에서 일정공간을 할당 받아 계정이 허락하는 권한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nl /etc/passwd 명령어를 입력하면 계정에 대한 종합 정보가 다음과 같이 number list로 나옵니다. 33 lsh98:x:1000:1000:lsh98:/home/lsh98:/bin/bash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lsh98 x 1000 1000 lsh98 /home/lsh98 /bin/bash 계정명 비밀번호 Uid Gid 사용자정보 계정의 홈 디렉터리 로그인 쉘 1.1 사용자 관련 파일 관련 명령어 /etc/passwd 계정에 대한 종합정보 /etc/group group 정보 /etx/login.defs..
· TIL
오늘은 VirtualBox에 Ubuntu Server 22.04.2 LTS를 설치했다. Ubuntu를 설치하기 전 계획을 먼저 세우고 세운 계획 대로 설치를 진행하였다. 기본 설정 가상 머신 이름 : MyUbuntu RAM : 2G HDD : 30G Processor : 2개 Hostname : lsh98 일반 사용자 ID: lsh98 일반 사용자 PW : jj 포트 포워딩 설정 22 80 8000 8080 파티션 설정 /boot 1G swap 2G / 12G / home 5G / data 나머지(10G) SSH server는 반드시 설치해야한다. 패키지 설치 설치 완료 후 기본적으로 필요한 패키지 등을 설치하고 유용한 설정을 해준다. 먼저 필수 패키지 들을 설치해 준다. 우분투에서 사용하는 apt 패키..
· TIL
1. 리눅스 프로세스 관리하기 리눅스의 프로세스는 PID 로 식별 가능하다 $ps -ef | grep bash # 사용자들의 PID 사용 가능 $ps -ef | grep http # httpd가 실행중인지 검색 $ps aux # 프로세스 상태 $ps # 프로세스 상태 (부모와 자식프로세스 사이를 보기 용이) $kill -9 PIDno # 사용자의 PID를 넣어 로그아웃 시킬 수 있다. $kill -l # signal 정보보기 $kill -9 # 200 200번 프로세스 kill $top # table 정보 보기 $pstree # process tree systemd : 모든 프로세스의 부모프로세스 2. 시스템 관련 명령어 명령어 내용 # arch cpu 정보 확인 # df -h disk 사용 정보 확인 ..
· TIL
Shell 은 사용자들이 내리는 명령어들을 해석하여 기계어로 번역한 다음 커널에게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리눅스에서 현재 표준을 사용되는 Shell은 bash이고 맥에서는 catalina버전부터 zsh쉘을 사용한다. 이 글에서는 bash 쉘 기준으로 설명한다. root 사용자 일 경우 #, 일반 사용자일 경우 $ 로 표시된다. 1. Shell 관련 명령어 $echo $SHELL 현재 쉘 $env 환경 변수 $chsh -l 사용 가능한 shell보기 $enable 내부 명령어 보기 $!! 바로 이전 명령어 보기 $history 최근 명령어 보기 (기본 : 1000개) $alias c='clear' c를 입력할 때 clear 명령어가 실행되도록 alias(별명, 단축어) 설정 $unalias c alia..
· TIL
컴파일 하기 전 컴파일러들을 패키지 관리자로 설치해 주자 $ dnf -y install gcc g++ java java-devel dnf : 패키지 관리자 (리눅스의 경우 apt사용) -y : 설치과정중 y 자동입력 gcc : C컴파일러로 사용 g++ : C++컴파일러로 사용 java, java-devel : JAVA컴파일러에 사용 1. C $ vi triangle.c :wq를 하고 빠져 나온 후 다음과 같이 입력한다. $ gcc triangle.c -o ta $ ./ta ta라는 실행파일을 생성하고 실행시킨다 만약 ./ 쓰는것이 귀찮다면 경로설정을 해주면 된다. 그리고 바로 ta만 입력하면 실행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 PATH=$PATH:. 2. C++ $ vi triangle.cpp $ g++ -..
· TIL
vi에디터의 더 다양한 기능을 알아보자 기본 기능은 아래의 링크 참고하면된다. 2023.04.25 - [TIL] - [리눅스] Linux vi 에디터 기본 기능 2일차-1 검색, 문자열 변경 입력모드가 아닌 일반 모드에서 실행해야하는걸 항상 생각해보자 무슨 모드인지 모르겠으면 일단 ESC 연타하자 /find 텍스트 에서 find를 검색한다. 찾은 항목들은 n 을 눌러 다음항목으로 이동가능하다.(3글자 이상) ? find 텍스트에서 find를 검색한다. /find 와 같음 :2, 5 s/find/ok 2~5라인의 find가 있으면 ok 로 대체한다(substitute) :20, 30 s/choco/jelly/g 20~30라인의 choco가 여러번 나와도 모두 변경한다 global :1,$ s/choco/j..
· TIL
vi 에디터를 사용해보자 vi 에디터는 리눅스에서 텍스트 편집 할 때 쓰인다. 익숙해지면 편하지만 익숙해지기 까지 시간이 걸린다. 모드 전환에 익숙해지고 여러번 명령어를 치다보면 익숙해지는것 같다. 일반, 입력, 실행, 비주얼 모드 이렇게 4가지가 있다고 하지만 크게 일반 모드와 입력 모드가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키보드로 모든걸 통제하기 위해 모드가 나눠져 있다고 생각하자. 일반 모드에서는 크게 입력모드로 전환하는 기능, 파일을 저장하고 나가는 기능 그리고 복사 붙여넣기 삭제 하는 기능 등이 있다고 생각하자. 먼저 터미널에 삼각형 별찍기 c언어 파일을 생성해보자 $ vi triangle.c 기본 사용자는 쉘에 $ root 사용자는 쉘에 #로 표시된다. 모드 전환 처음 vi로 파일을 열게되면 일반 모드에..
· TIL
Linux를 사용하기전에 먼저 환경세팅을 해보자. 컴퓨터에 직접 Linux 계열 운영체제를 설치하고 운용할수 있겠으나 여러가지 셋팅하기에는 복잡하다. 오늘 수업에서는 PuTTY를 통해서 외부 서버 혹은 내부 가상환경을 통해 접속하는 방법을 익혔다. PuTTY 설치하기 https://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latest.html Download PuTTY: latest release (0.78) This page contains download links for the latest released version of PuTTY. Currently this is 0.78, released on 2022-10-29. When new releases come ..
엥이게되네
개발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