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은 소프트웨어 형상관리시스템 중 하나이다
SCM : 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Stystem
형상관리 시스템의 하위 개념은 버전관리시스템이라고도 하는데
버전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면 변경사항을 추적 및 통제할 수 있다.
이런 버전관리 시스템은 중 널리 쓰이는 시스템은 Git이다.
Git은 분산형 저장소로 변경사항을 중앙이 아닌 원격에서 저장 가능하다.
사용자의 OS에 깃을 설치하고 해당 폴더에서 git을 초기화 하면 형상 추적관리가 가능해 진다.
저장소 초기화
git으로 형상관리 시작하게 해준다.
.git폴더가 생성된다.
git init
저장소 복제 - 깃허브 등 원격 저장소에서 가져오기
git clone 복제할 URL
현재 작업중인 위치에서 해당 명령어와 함께 입력하면 해당 폴더명으로 디렉터리가 만들어진다.\
github의 경우 복사버튼을 클릭하여 원격저장소의 URL을 가져오고
이렇게 명령어 입력하면된다.
로컬 저장소가 생성 되면 버전추적이 가능해진다.
1. 현재 상태 확인
git status
현재 추적되고 있는 파일인지 아닌지 확인
새로 생성된 파일은 git add를 통해 stage에 추가 할 수있고
변경된 파일은 stage에 자동으로 올라간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삭제된 파일도 확인할 수 있다.
2. 버전관리할 파일 추가 (백업대상 파일 명단 작성) (add)
만약 추가하고 싶은 파일이 새로 생성되어 stage에 올라가지 않았다면
git add 해당파일명
을 통해 추가할 수 있다.
현재 폴더 및 하위 폴더의 모든 변경대상을 추가할 수 있다.
만약 폴더 내에 수정된 전체 파일을 git에 추가하고 싶으면
git add .
를 통해 추가할 수 있다.
3. 파일 변경내역 로컬에 저장 (commit)
git commit -m "변경사항 내용 작성"
-m 옵션을 붙이지 않으면 변경 내용을 한줄이 아닌 여러줄로 작성할 수 있다.
4. 파일 변경 내역 원격에 저장 (push)
git push
로컬에 저장되어있는 commit한 내용을 원격저장소에 저장한다.
5. 원격저장소의 최신 내역 가져오기 (pull)
git pull
원격저장소에 있는 최신변경사항을 로컬로 가져온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ignore 파일 자동생성하기 - gitignore.io (2) | 2023.05.25 |
---|---|
JAVA 빌드 도구 정리 (4) | 2023.05.24 |
JAVA 컴파일 인터프리터 정리 (0) | 2023.05.23 |
소프트웨어와 웹애플리케이션 (0) | 2023.05.22 |
[AI] 딥러닝 CNN 모델 3주 13일차 (4) | 2023.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