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리눅스] Linux bash 쉘과 쉘 스크립트 작성 3일차-2

엥이게되네 2023. 4. 26. 21:05
728x90

Shell 은 사용자들이 내리는 명령어들을 해석하여 기계어로 번역한 다음 커널에게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리눅스에서 현재 표준을 사용되는 Shell은 bash이고 맥에서는 catalina버전부터 zsh쉘을 사용한다.

 

이 글에서는 bash 쉘 기준으로 설명한다.

 

 

root 사용자 일 경우 #, 일반 사용자일 경우 $ 로 표시된다.

 

 


1. Shell 관련 명령어

$echo $SHELL 현재 쉘
$env 환경 변수
$chsh -l 사용 가능한 shell보기
$enable 내부 명령어 보기
$!! 바로 이전 명령어 보기
$history 최근 명령어 보기 (기본 : 1000개) 
$alias c='clear' c를 입력할 때 clear 명령어가 실행되도록 alias(별명, 단축어) 설정
$unalias c alias c 해제

 

이전에 내린 명령어를 확인하려면 위 아래 방향키로 확인 가능하다.

 


2. Shell 환경 변수와 파일

지역 변수 : set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설정값, 다시 로그인 해도 그 값을 유지
환경 변수 : env 현재 로그인한 터미널에서만 적용되는 변수, 다시 로그인하면 소멸
~/.profile 개인 설정 파일
~/.bashrc 설정 보조 파일
~/.bash_aliases alias 정보 설정 파일
~/.bash_history $history 내용 저장 (기본 : 1000개)
~/.bash_logout logout시 실행내용
~/.vimrc vi 기본 설정
/etc/bash.bashrc 전체 user의  환경설정, root 만이 실행가능

 


3. bash 변수 연산 및 expr

$a=10		#변수 입력
$b=3.14
$c='A'
$d="Korea"
$echo $a, $b, $c, $d   #변수 출력
$10, 3.14, A, Korea    #실제 출력된 변수

 

echo $SHELL

echo ~ : 홈으로 가기

728x90